AI 자동화 수익화 필수 용어 정리 2
시스템 구축과 심화 전략 편

PART 1 — 데이터 & 시스템 인프라 심화 용어
API 몇 개를 잇는 수준을 넘어, 데이터 파이프라인과 통합 관점에서 자동화를 바라봐야 합니다.
1) ETL (Extract, Transform, Load)
여러 소스에서 데이터를 추출 → 목적에 맞게 변환 → 저장소에 적재하는 과정입니다. 예: YouTube Analytics, TTS 로그, 결제 데이터를 규격화해 KPI 시트로 집계.
2) MRR (Monthly Recurring Revenue)
구독형 모델의 월 반복 수익. MRR 추적은 성장의 안정성과 유지율 개선 포인트를 보여줍니다.
3) API Rate Limit
정해진 시간에 호출 가능한 요청 수 제한. 초과 시 에러/차단 → 큐·캐시·재시도 설계 필수.
PART 2 — 고급 프롬프트 & 프롬프트 최적화 전략
프롬프트는 생산성과 정확도를 좌우하는 엔진입니다.
1) 프롬프트 튜닝
목표·톤·출력 포맷 변수를 조정해 최적 응답을 찾는 반복 실험.
2) 레이블링 프롬프트
생성물에 태그·분류를 달아 파이프라인과 연결. 예: “요약|설명|튜토리얼 중 하나로 분류, 이유 1문장”.
3) RLHF
사람 평가를 루프로 연결해 출력 품질을 개선. 자동화여도 사람 검수가 핵심.
PART 3 — 수익화 지표와 비즈니스 구조
1) ARPU
사용자 1명당 평균 수익. MRR ÷ 활성 사용자 수.
2) Churn Rate
이탈률. 월/분기 코호트로 추적, 원인 기록.
3) Upsell / Cross-sell
상위 플랜·부가 상품으로 확장. 예: 기본 자동화 + 브랜딩 에셋 팩.
PART 4 — 사용자 행동 분석 & 성장 전략 용어
1) AARRR 프레임워크
Acquisition → Activation → Retention → Referral → Revenue. 병목을 수치로 확인.
2) Cohort 분석
가입 시점별 집단 비교. 1·3·6개월 유지율/ARPU 변화 확인.
3) 그로스 해킹
저비용 고속 실험. 썸네일·가격 문구 A/B 자동화.
PART 5 — SEO 고도화 & 콘텐츠 전략
1) 콘텐츠 갱신 주기
정기 업데이트는 랭킹 방어에 효과적.
2) 구조화 데이터
FAQ/How-to/Article 스키마 활용.
3) 롱테일 키워드
긴 질의 타깃. 전환율 ↑ 경쟁 ↓
PART 6 — 7일 심화 실행 플랜
- Day 1 — ETL/KPI 시트 설계
- Day 2 — 프롬프트 튜닝 템플릿화
- Day 3 — Cohort 자동 리포트
- Day 4 — AARRR 병목 실험
- Day 5 — SEO 갱신 자동화
- Day 6 — Upsell/Cross-sell 이메일
- Day 7 — 대시보드 발행
추가 콘텐츠 — 코드 & 자동화 실행 예시
프롬프트 튜닝 템플릿
# 역할(Role): 시니어 스크립트 라이터
# 목표(Goal): {콘텐츠 목적}
# 톤(Tone): 전문+친절
# 제약: 사실 기반, 출처 표기
# 출력 형식: [오프닝][본론][클로징]
Node.js 파이프라인
import OpenAI from 'openai';
import axios from 'axios';
Google Apps Script KPI
function addDailyKPI() {
const ss = SpreadsheetApp.getActive();
const sh = ss.getSheetByName('KPI');
sh.appendRow(['날짜','노출','클릭']);
}
FAQ
Q1. 코딩 못해도 시작 가능한가요?
A. 가능합니다. 본문 템플릿을 복사해 MVP 수준으로 돌려보세요.
Q2. 자동화 100%로 돌려도 되나요?
A. 초안 자동화는 좋지만, 최종 검수는 사람이 담당하세요.
Q3. 애드센스 승인에 유리하게 하려면?
A. 고유성 있는 사례, 구조화 데이터, 내부링크, 정책 페이지를 준비하세요.
결론 — ‘영상 제작자’에서 ‘시스템 운영자’로
자동화는 한 번의 생각을 여러 산출물로 안전하게 복제합니다. 꾸준함은 체력이 아니라 시스템의 속성입니다.
※ 본 글은 교육 목적의 일반 정보입니다.